본문 바로가기

중대성 평가

SK이노베이션 계열의 지속가능성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GRI Standards의 보고 주제 선정 원칙에 따른 중대성 평가를 시행하였습니다. 국제표준 분석, 선진 기업 벤치마킹, 미디어 리서치를 포함한 내·외부 환경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슈 풀(Pool)을 구성하였으며, 각 이슈에 대한 사업 영향도 및 이해관계자 관심도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. 이를 통해 핵심 보고 이슈 3개와 중요 보고 이슈 10개가 선정되었습니다. SK이노베이션 계열은 본 보고서를 통해 보고 이슈와 관련된 활동 및 성과를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한층 더 강화하고자 합니다.

중대성 평가 프로세스
Step 1|지속가능경영 이슈 풀(Pool) 구성
지속가능경영 이슈 풀(Pool) 구성 표 입니다. 이 표는 외부 환경분석(벤치마킹, 국제표준 분석, 미디어리 서치, 이해관계자 설문), 내부 환경분석(내부자료 검토, 구성원 설문)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외부 환경분석
외부 환경분석 벤치마킹
  • Oil & Gas 산업 ESG 보고 이슈 및 트렌드 조사 - SK이노베이션의 국내외 경쟁사 중 총 9개 사 (해외 7개 사, 국내 2개 사) 분석
국제표준 분석
  • ESG 이슈 전반을 포괄하는 국내외 표준 분석 - GRI Standards, DJSI, ISO 26000, UNGC, UNSDGs 분석
  • Oil & Gas 산업 특성을 반영한 산업 표준 분석 - SASB, IPIECA, MSCI, EcoVadis 분석
미디어리서치
  • 2021년 공개된 SK이노베이션 계열 관련 기사 조사 - 총 3,331건의 기사 중 유효 기사1) 1,363건 분석
이해관계자 설문
  • 외부 이해관계자2) 대상 설문조사 시행 - 총 114명 참여
내부 환경분석
내부 환경분석 내부 자료 검토
  • CEO 신년사 키워드 분석
  • 유관부서 담당자 인터뷰 결과 분석
구성원 설문
  • SK이노베이션 계열 임직원 대상 설문조사 시행 - 1,302명 참여
Step 2|평가 및 우선순위화
평가 및 우선순위화 표 입니다. 이 표는 총 33개 ESG 이슈 도출(이해관계자 관심도 분석,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)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총 33개 ESG 이슈 도출
이해관계자 관심도 분석
  • 국제표준 분석 결과 점수화
  • 미디어 노출 분석
  • 협력사, 지속가능경영 전문가 등 주요 이해관계자 및 구성원 설문 결과 분석
비즈니스 영향도 분석
  • 동종 산업 벤치마킹 결과 점수화
  • CEO 신년사 키워드 및 내부 경영자료 분석
  • 유관부서 담당자 인터뷰를 통한 SK이노베이션 계열 지속가능경영 중점 이슈 중 추진 방향성에 따른 가중치 부여
Step 3|보고 이슈 선정
보고 이슈 선정 표 입니다. 이 표는 이슈별 중대성 점수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이슈별 중대성 점수화
핵심 보고 이슈 (미디어 관심이슈, Oil&Gas 산업이슈, 내외부 이해관계자 이슈) -> 이사회 검토
핵심 보고 이슈 (미디어 관심이슈, Oil&Gas 산업이슈, 내외부 이해관계자 이슈) -> 이사회 검토
Step 4|보고 방향성 협의 및 활동 추진
보고 방향성 협의 및 활동 추진 표 입니다. 이 표는 핵심 보고 이슈 3개, 중요 보고 이슈 7개 선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핵심 보고 이슈 3개, 중요 보고 이슈 7개 선정
핵심 이슈 1 친환경 사업 및 투자 확대
  • 기후변화 대응 Framework & Frontier 1.5D
  • Net Zero Roadmap 업데이트
  • 공정한 전환
  • 그린 포트폴리오 확대
핵심 이슈 2 기후변화 대응
핵심 이슈 3 폐기물 감축 및 순환 경제 실현
  • 폐기물 재활용률 제고 및 순환 경제 생태계 구축
중대성 평가 결과

중대성 평가 결과 선정된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핵심 ESG 이슈는 ‘친환경 사업 및 투자 확대’, ‘기후변화 대응’과 ‘폐기물 감축 및 순환 경제 실현’이며, 관련 정보는 Focus Area 섹션에 수록되어 있습니다. SK이노베이션 계열은 본 보고서 및 ESG Performance Report를 통해 이 외 7개 보고 이슈와 관련된 주요 활동 및 성과 또한 빠짐없이 공시하고 있습니다.

[중대성 평가 결과]
중대성 평가 결과 그래프 이미지 입니다.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세요.
  • 비즈니스 영향도(Relevance) > 이해관계자 관심도 (Impact) : 글로벌 경쟁력 강화, 제품안전 강화, 재무 건전성 확보, 발전적 노사관계 건축
  • 비즈니스 영향도(Relevance) = 이해관계자 관심도 (Impact) : 협력사 동반성장, 9. 공정한 채용 및 성과보상 (신규)
  • 비즈니스 영향도(Relevance) < 이해관계자 관심도 (Impact) : 인적자원 개발 및 관리,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, 개인정보보호, 3. 폐기물 감축 및 순환 경제 실현(UP), 5. 협력사 ESG 관리 강화(UP), 6. 임직원 인권 관리(UP), 10. 임직원 복리후생 강화(신규), 7. 윤리경영·공정거래, 8. 산업안전보건 관리
  • 비즈니스 영향도(Relevance)와 이해관계자 관심도 (Impact)가 모두 많은 경우 : 1. 친환경 사업 및 투자 확대(세분화), 2. 기후변화 대응(세분화), 4. 지역사회 참여 및 공헌(UP)
중대성 평가 결과 표 입니다. 이 표는 순위, 보고 이슈, 보고 위치(ESG Report, ESG Performance Report), GRI Standard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순위 보고 이슈 보고 위치 GRI Standards
ESG Report ESG Performance Report
1 친환경 사업 및 투자 확대 16-20, 25-27, 31-33 -
2 기후변화 대응 12-17, 35-40 305-1~5
3 폐기물 감축 및 순환 경제 실현 22, 42-43 10, 114 306-3,5
4 지역사회 참여 및 공헌 57-58 62-74, 126-127 413-1
5 협력사 ESG 관리 강화 55-56 52-56, 123 308-1~2, 414-1~2
6 임직원 인권 관리 66-67 14-20, 126 412-1~3
7 윤리경영·공정거래 49-50 40-46, 122 102-16~17, 205-2~3, 206-1
8 산업 안전보건 관리 44-45 33-38, 125 403-1~10
9 공정한 채용 및 성과 보상 25-26 401-1, 405-2
10 임직원 복리후생 강화 46-47, 64-65 29-30 401-2